상속세 얼마까지 받으면 세금 걱정없을까?[상속세, 면제한도 기한, 신고방법]

자녀에게 물려주는 재산, 얼마까지 세금 걱정 없을까요? 2024년 상속세 개편에 따라 상속세 면제한도, 세율, 신고 기한, 그리고 신고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상속세 개념

상속세는 주는 사람 기준으로 계산하여 사망한 사람( 피상속인 )의 재산을 법정상속인이 이어받을 때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자녀들이 집, 땅, 금융상품등을 받을때 내는 세금이지요. 상속받은 재산이 많을 수록 더 많이 냅니다.

참고로 증여세라고 있는데 이것은 살아있을때 주는 것입니다.

누가 얼마를 낼까요?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재산가치와 상속인의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과세표준 계산 :
피상속인의 재산 가치에서 장례비, 재산취득비, 재산채무 등을 공제한 금액
세율 : 과세표준에 따라 10% ~ 50%까지 누진세율 적용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세 면제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우자 및 직계존속: 5억원
형제자매: 1억원
기타 친족 및 이인: 5천만원또한,
혼인이나 출산 시에는 기본 증여재산공제 5000만 원과 별개로 추가 1억 원의 증여재산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 받는 경우에 해당되며, 혼인일 전후 2년 이내 또는 자녀의 출생일부터 2년 이내에 적용됩니다

1.상속세 세율상속세 세율은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5억원 이하: 10%
과세표준 5억원 ~ 10억원: 20%
과세표준 10억원 ~ 20억원: 30%
과세표준 20억원 ~ 30억원: 40%
과세표준 30억원 이상: 50%

상속세 신고 기한

상속세 신고기간은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입니다.
상속개시일은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피상속인이 2024년 3월 10일에 사망했다면 상속세 신고기간은 2024년 9월 9일까지입니다.

상속세 신고 방법

상속세 신고는 다음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피상속인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에 방문하여 신고하거나 홈텍스를 통해 전자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 신고 시 신고기한을 지키면 5%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반드시 신고기한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상속세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고 대비하시기 위해 국세청 홈페이지나 세무서 상담을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상속은 예기치 못한 때에 다가오는 변화일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시고 제도에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세금 문제는 언제나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개선된 제도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공정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Scroll to Top